본문 바로가기
성공투자 재테크

피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소폭 하향...관세부담 완화 기대

by SB리치퍼슨 2025. 7. 1.
반응형

피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소폭 하향...관세부담 완화 기대

완화된 재정·통화 정책이 국내 수요를 뒷받침할 것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소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피치는 27일 발간한 ‘세계 경제 전망-2025년 6월’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평균 0.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 4월 제시한 1.0%에서 0.1%포인트 하락한 것입니다.
피치는 "부진한(weak) 1분기 데이터가 덜 불리해진 국제 무역과 관련한 추정을 상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피치는 내년도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1.4%) 대비 0.4%포인트 상승한 1.8%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피치는 "완화된(looser) 재정·통화 정책이 국내 수요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짚었습니다.

이어 "2027년에도 비슷한 속도로 경제가 확장할 것"이라면서도 "예상되는 핵심 리스크는 상품 수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는 대미 수출의 무역 장벽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피치는 한국은행이 올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더 인하할 것이라면서 최종 금리 수준은 연 2.00%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기존 전망치는 연 1.75%였습니다.

원/달러 환율에 대해서는 연말 기준 1,400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각 기관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기관(발표일) \ 연도 2025년 2026년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한국(이전치) 세계(이전치)
KDI(한국개발연구원, 11.11) 0.8%(1.6%)   N/A N/A
IMF(국제통화기금, 4.22) 1.0%(2.0%) 2.8% (3.3%) 1.4%(2.1%) 3.3% (3.3%)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6.3) 1.0%(1.5%) 3.1%(3.3%) 2.2%(2.2%) 3.0% (3.3%)
ADB(아시아개발은행, 4.9) 1.5%(2.3%)   N/A  
한국은행 (5.29) 0.8%(1.5%)   1.6%(1.8%)  
무디스(3.13) 1.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3.26) 1.2%(2.0%) 2.0%(2.2%) N/A  
피치(6.27) 0.9%(1.0%)   1.8%(1.4%)  
골드만삭스(5.16) 1.1%(0.7%)   2.1%(2.1%)  
모건스탠리(5.22) 1.1%(1.0%)   1.5%(1.4%)  
JP모건(4.24) 0.5%(0.5%)   N/A  
노무라(4.11) 1.1%(1.1%)   N/A  
HSBC(3.26) 1.4%(1.4%)   N/A  
씨티(5.xx) 0.6%(0.8%)   1.6%(N/A)  
바클레이즈(5.30) 1.0%(0.9%)   1.7%(1.4%)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1.31) 1.8%(1.8%)   N/A  
UBS(1.31) 1.9%(1.9%)   N/A  
캐피탈이코노믹스(CE, 3.26) 0.9%(1.5%)      

 

1981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미만을 기록한 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0.7%) 그리고 2023년(1.4%)로 4 번 뿐이었습니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024년은 2.0% 기록하였습니다.

 

📊 GDP 성장률로 보는 경기 순환 판단(경기 확장, 경기 수축, 경기 침체)

국면 개념 주요 경제 현상 실질 GDP 흐름
1. 회복기 
(Recovery)
경기 저점을 지나 서서히 경제가 살아나는 시기 - 기업 투자 증가
- 고용 회복 시작
- 생산 소비 증가
- 소비자 신뢰 지수 개선
- 금리 낮음 (완화적 정책 유지)
GDP 성장률이
0% 이상으로 상승
2. 확장기 
(Expansion)
경제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활황을 누리는 시기 - 투자 증가
- 고용률 상승
- 생산 소비 증가
- 주식시장 활황
- 인플레이션 가능성 증가
GDP 성장률이
2분기 이상 상승
3. 후퇴기 
(Recession)
경기 정점을 지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하강하는 시기 - 기업 투자 감소
- 실업률 증가
- 생산 소비 감소
- 금리 인하 시도
GDP 성장률이
2분기 이상 둔화 또는 감소
4. 침체기 
(Depression or Trough)

경기의 바닥, 경제활동이 매우 위축된 상태 - 기업 도산 증가
- 실업률 고공행진
- 생산 소비 위축
- 정부 재정지출 확대
- 디플레이션 가능성
GDP 성장률이 
2분기 연속 하락

 


#한국경제성장률전망 #세계경제성장률전망 #경제성장률전망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경제전망 #소비자물가 #물가상승률 
#글로벌IB #투자은행 #한국성장률전망 #한국개발연구원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개발은행 #한국은행 #금통위 #KDI #IMF #OECD #ADB #스탠더드앤드푸어스 #무디스 #피치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노무라 #JP모건 #HSBC #씨티 #바클리 #바클레이즈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캐피탈이코노믹스  
#수출둔화 #내수회복부진 #내수부진 #수출부진 #금리인하 #추경 #경기부양 #트럼프관세 #관세완화 #반도체 #자동차 #미국관세인상정책 #미중무역협상 #정치불안 #비상계엄 #경기순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