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BM3E3 SK하이닉스, 엔비디아 주최 GTC서 소캠·HBM4 12단 첫 공개 SK하이닉스, 엔비디아 주최 GTC서 소캠·HBM4 12단 첫 공개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콘퍼런스 'GTC 2025'에서 올해 하반기 양산 예정인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HBM4'와 차세대 AI 서버용 메모리 표준 '소캠'(SOCAMM)을 처음 공개했습니다.SK하이닉스는 현지시간으로 21일까지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GTC 2025에 참가해 '메모리가 불러올 AI의 내일'을 주제로 HBM을 포함한 AI 데이터 센터, 온 디바이스, 차량 분야 메모리 솔루션을 대거 전시한다고 19일 밝혔습니다.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제품을 양산해 고객사에 공급 중인 SK하이닉스는 올 하반기 내로 HBM4 12단 제품 양산 준비를 마치고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맞춰 공급을 시작한.. 2025. 3. 19.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반도체 관련주(HBM 전공정・후공정 소부장)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반도체 관련주(HBM 전공정・후공정 소부장) HBM(High Bandwidth Memory)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국내 기업들이 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013년에 HBM을 처음 개발한 이후 시장의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SK하이닉스는 5세대 신제품인 HBM3E D램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였고, 2024년 3월부터는 HBM3E(8단) 제품을 양산해 엔비디아에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3분기부터는 세계 최초로 12단 적층 HBM3E 제품도 양산을 시작하였습니다. SK하이닉스는 2025년에는 HBM4(6세대)를 양산할 계획이며, 2026년에는 HBM4E(7세대) 제품도 양산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2025. 3. 5. HBM 선점 나선 엔비디아..SK하이닉스에 '선수금'까지 HBM 선점 나선 엔비디아..SK하이닉스에 '선수금'까지 오늘 오전에 반도체 관련 희소식이 있었습니다. 제경우 장기 보유로 가고 있는 SK하이닉스에 희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1위 기업인 미국 엔비디아가 SK하이닉스에 대규모 선수금을 지불하며 AI 반도체에 필수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선점에 나섰습니다. 17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SK하이닉스와 HBM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선수금을 대거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독점적으로 HBM3를 공급하고 있고 내년 공급되는 후속제품인 HBM3E까지 전담키로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대규모 선수금을 지급하는 형식의 계약은 이례적이라고들 합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기업이었던.. 2023. 10.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