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소양관리

[자기경영] [김정운의 남자에게]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by SB리치퍼슨 2011. 8. 17.
[자기경영] [김정운의 남자에게]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90883.html

지혜롭게 나이가 든다는 건 내면의
시간이 아주 많아지는 것을 뜻한다
정신없이 살다가는 한방에 훅 간다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가슴 철렁하지 않는가? 휴가철에 읽을 책을 추천해 달라는 원고청탁을 받을 때마다 내가 꼭 추천하는 책의 제목이다. 그대는 도대체 어떤 어른인가? 아침마다 ‘남의 돈 따먹기 정말 힘들다’며 머리카락 휘날리며 달려나가려고 어른이 된 것은 아니지 않은가? 평생 이렇게 먹고살기도 바쁘게 살다 가려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언젠가 책방의 판매대 구석에 꽂혀 있는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뒤통수를 호되게 맞는 느낌이었다. 독일어로 된 책의 원제목은 좀 생뚱맞다. ‘오늘 존슨은 오지 않는다’(Heute kommt Johnson nicht)는 원제목을 이처럼 기막힌 한글 제목으로 바꿨다. 책 내용은 아주 한가로운 노인의 세상을 보는 따뜻한 시선에 관한 이야기다.

어릴 적 누구나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러나 어떤 어른이 될 것인가에 관해서는 아무 생각 없었다. 그러니 나이가 들어서는 죄다 그 모양으로 정신없이 바쁘게 사는 거다. 이런 식으로 살다가 성질 고약한 노인이 되는 건 불 보듯 빤한 일이다. 아니 이미 자주 짜증내고, 작은 일에 분노하며, 아주 쉽게 좌절하는 전형적인 ‘한국남자어른’, 즉 ‘아저씨’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시간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차이에 관대해지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그렇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 심리학과의 제임스 페너베이커 교수 등은 8살부터 85살까지 3280명의 일기와 같은 기록들과 유명작가 10명의 작품들을 분석했다. 일반인들이 사용한 3800만 단어와 작가들의 900만 단어를 나이에 따라 분류해보니,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하고 있었다. 분노, 좌절, 슬픔과 같은 단어들은 젊은이들의 언어였다.

나이가 들수록 ‘나’, ‘나의’, ‘나에게’와 같은 단어들은 줄어들고, ‘우리’와 같은 공동체 관련 단어들이 늘어났다. 나이가 들수록 시간과 관련된 단어들도 줄어들었다. 시간에 덜 쫓긴다는 이야기다. 동사의 시제에서도 차이가 났다. 동사의 과거형은 젊은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중년은 현재형을, 노년으로 갈수록 미래형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젊은이들이 미래를 더 많이 이야기하고 노인들이 옛날 이야기를 더 많이 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정반대라는 것이다. 페너베이커 교수는 이러한 변화를 ‘지혜’라고 표현한다.

지혜롭게 나이가 든다는 것은 내면의 시간이 아주 많아지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정신없이 살다가는 정말 한방에 훅 간다. 태풍에 뿌리째 뽑혀 자빠져 있는 나무는 한결같이 아름드리 나무다. 그 엄청난 두께의 나무들이 아주 간단히 쓰러진다. 폼 나 보이지만 의외로 쉽게 무너진다는 이야기다. 요즘 들어 승승장구하던 이들이 정말 맥없이 자기 목숨을 끊는 경우를 자주 본다. 우리는 큰 충격을 받는다. ‘성공한 어른’이었을지는 몰라도 자신의 내면을 위한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대나무는 아무리 태풍이 불어도 부러지지 않는다. 채 몇 센티미터도 되지 않는 가는 줄기가 높게는 수십 미터까지 올라간다. 마디가 있는 까닭이다. 마디가 없는 삶은 쉽게 부러진다. 아무리 바빠도 삶의 마디를 자주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주말도 있고, 여름휴가도 있는 거다.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된다는 것은 이 삶의 마디를 잘 만들어 ‘가늘고 길게’, 아주 잘 사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옛날이야기는 죄다 ‘행복하게 오래오래 잘 살았다’고 끝나는 것이다.

한국 사회 모든 문제의 원인은 ‘굵고 짧게’ 살려는 이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사회적 변비다. 그래서 곳곳이 꽈-악 막혀 있는 것이다.

김정운 명지대 교수, 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