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IB, 한국 올해 성장률 전망 평균 1.6%로 하향
글로벌IB 8곳 韓 올해 GDP 1.7%→1.6%로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계속해서 낮추고 있습니다. 고환율·고유가에 인플레이션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IB 8곳이 내놓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평균치는 1월 말 기준 1.6%다. 지난해 12월 말 평균 1.7%에서 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연초 전망치(1.8%)에 못 미치는 수준이며 한국은행의 지난달 20일 수정 전망치 1.6~1.7%의 하단입니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졌습니다.
IB 평균 전망치는 지난해 9월 말 2.1%에서 3분기 수출 감소를 확인한 직후인 10월 말 2.0%로 떨어진 뒤 올해 1월 말까지 넉 달 연속 내림세를 탔습니다.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한 곳은 JP모건으로 지난 한 달 새 1.3%에서 1.2%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JP모건은 지난해 12월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내수 부진을 꼬집으면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전망을 종전 1.7%에서 1.3%로 크게 하향한 후 이달 다시 한번 전망치를 내렸습니다. 이 밖에도 시티가 1.6%에서 1.4%로, 바클리가 1.8%에서 1.6%로 각각 전망치를 조정했습니다. UBS는 1.9%, 뱅크오브아메리카와 골드만삭스는 1.8%, HSBC와 노무라는 1.7%를 각각 유지했습니다.
비상계엄 사태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우리 성장 전망 경로에도 암운이 드리웠습니다.
물가 전망치는 오히려 한 달 전보다 더 높아졌습니다.
바클리가 1.8%에서 1.9%로, 노무라가 1.7%에서 1.8%로 각각 높였다. JP모건과 HSBC는 2.0%, 씨티와 UBS는 1.9%,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8%, 골드만삭스는 1.6%를 각각 유지했습니다.
통계청은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지수가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었습니다.
💁🏻♀️각 기관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기관(발표일) \ 연도 | 2025년 | 2026년 | ||
한국(이전치) | 세계(이전치) | 한국(이전치) | 세계(이전치) | |
KDI(한국개발연구원, 11.11) | 2.0%(2.1%) | N/A | N/A | |
IMF(국제통화기금, 1.17) | 2.0%(2.0%) | 3.3% (3.2%) | 2.1%(2.2%) | 3.3% (3.3%)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12.4) | 2.1%(2.2%) | 3.3%(3.2%) | N/A | |
ADB(아시아개발은행, 9.25) | 2.3%(2.3%) | N/A | ||
한국은행 (11.28) | 1.9%(2.1%) | N/A | ||
골드만삭스(1.31) | 1.8%(1.1%) | N/A | ||
모건스탠리 | 1.7%(2.0%) | N/A | ||
노무라(1.31) | 1.7%(1.7%) | N/A | ||
JP모건(1.31) | 1.2%(1.3%) | N/A | ||
HSBC(1.31) | 1.7%(1.7%) | N/A | ||
씨티(1.31) | 1.4%(1.6%) | N/A | ||
바클리(1.31) | 1.6%(1.8%) | N/A | ||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1.31) | 1.8%(1.8%) | N/A | ||
UBS(1.31) | 1.9%(1.9%) | N/A |
1981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미만을 기록한 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0.7%)과 2023년(1.4%)로 네 번 뿐이었습니다.
#글로벌IB #투자은행 #한국성장률전망 #한국경제성장률전망 #세계경제성장률전망 #한국개발연구원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개발은행 #한국은행 #KDI #IMF #OECD #ADB #경제성장률전망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경제전망 #수출증가세둔화 #인구구조변화 #생산인구감소 #내수회복부진 #내수부진 #수출부진 #트럼프관세 #반도체 #자동차 #미국관세인상정책 #금리인하 #증세권고 #고령화위기 #정치불안 #비상계엄 #계엄충격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노무라 #JP모건 #HSBC #씨티 #바클리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성공투자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다-닛산 합병 무산...글로벌 3위 꿈 사라져 (0) | 2025.02.07 |
---|---|
액침냉각 관련주..AI, 반도체, 서버, 데이터센터 (1) | 2025.02.06 |
한국, 관세전쟁 대미 수출 8% 감소 전망 (0) | 2025.02.03 |
ECB, 비트코인 지급준비자산 도입 거부 (2) | 2025.02.01 |
삼성전자, HBM3E 8단 엔비디아 공급 승인 얻어 (0) | 2025.02.01 |
댓글